생활정보

금값시세 확인하는 방법 (24K & 18K)

열매열무맘 2023. 12. 16. 11:50

 

 

 

금이라는게 예전에는 장신구라는 개념이 강했다고는 하지만 요즘은 투자 / 재테그에 목적 수단으로도 활용이 좋은거같습니다.

 

금값시세 확인하는 방법

 

국내에서 사람마다 각각 부루는 단위가 약간씩은 다르지만, 정식적으로 표시된 개념은 3.75g에 1돈이라고 부르고있습니다.

 

3.75g이면 10돈이며, 이것이 10배면 100돈이라고 생각하시면은 될거같아요.

추후 언젠가는 중고로 물건을 사야 할때가 온다면은 돈수와 그램수를 헷갈리지 않아야 합니다.

먼저 국내의 금값시세를 확인해 보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크게 2가지 방법을 활용해 보겠습니다.

 

 

 

1. 네이버 검색

 

 

금값시세라는 단어를 입력하게 되면 현재 국내에서 매매가되는 기준으로 했을 때의 금액이 나오게 됩니다.

이것은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금액이며, 여기에서 나오는 85,189원은 1돈이 아닌 1g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순도가 가장 높은 24k인 순금에 해당합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대로 1돈을 매수하기 원하시면 해당 금액에 x 3.75를 곱해주어야만 31만원정도가 나오게 됩니다.

 

그런데 이정도를 확인하고 금은방에 가셔서 1돈을 산다고 해당금액을 가져가신다고 해서 살수있느게 아니라 기준이 그렇게 된다고 보시면 좋을거같습니다.

 

2. 한국금거래소

 

 

 

오늘 자 기준으로 보면은 순금은 361,000원이며, 팔때는 315,000원으로 대략 5만원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두 경우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른사람들이 말하는 많은 이유들이 있겠지만 순수하게 세공이 되지 않은 골드 바를 기준으로 본다면은 금을 가공 / 유통 / 보관 등에 발생하는 여러가지 인건비나 기타 비용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30만원에 매도를 해서 다시 30만원에 매수를 하는 것은 당연하게 이치가 맞지 않습니다.

 

이렇게 되면 당일에 사고  팔고를 계속해서 반복하게 되면 가게 입장에서는 많은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투자의 목적으로만 바라본다면은 24k를 사서 오랜 기간 보관을 하셨다가 몇 년 후에 팔아야지 겨우 제값을 받는 정도가 되는거 같습니다.

 

 

 

 

18k는 투자에 적합할까?

 

금갑시세 함량이란? 

. 금은 원자번호 79번의 원소로 11족 6주기에 속하는 구리족 원소이다.

. 금은 24분할로 순도가 정해지는데 순금은 24k라고 하고, 이는 금 함량이 99.99$이다.

. 그 외 18k , 14k 등으로  표기하는데, 18k는 75% , 14k는 58.5% 이상의 금이 함유돼 있다.

 

먼저 18k 같은 경우에는 투자를 하는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단순히 장신구의 느낌으로 활용하는게 좋으며, 우리들이 흔히 알고 있는 골드 바의 경우 굳이 순금이 아닌것으로 만들 이유도 필유도 없기 때문입니다.

 

금 함량에 따른 표기 방법
k 금함량 표기숫자
8k 33.3 333
9k 37.5 375
10k 41.6 416
12k 50.0 500
14k 58.5 585
18k 75.0 750
20k 83.3 833
22k 91.66 916
23k 95.83 958
24k 99.99 999

 

 

함량이 높을 수록 값은 올라가게 됩니다.

말 그대로 24k에 가까울수록 불순물이 적은 편에 속하여, 8k는 금 함량이 절반도 되지 않느 수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사는 비용은 제외를 하고 나중에 팔때를 생각해 보면은 함량에 따라 받게되는 액수가 달라지게 됩니다.

 

 

 

 

안전자산으로 생각하기

 

금이 우리들이 생각하기보다 비싼 이유 중에 하나는 그 가치가 변하지 않는 다는 점입니다.